coding code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메뉴 닫기
  • 글작성
  • 방명록
  • 환경설정
    • 분류 전체보기 (39)
      • coding (7)
      • 네트워크 (2)
      • 알고리즘 (5)
      • 용어 (0)
      • 온라인 광고 (1)
      • 오류 (4)
      • Javascript (12)
      • React (3)
      • winterWood 강의 (1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Javascript

iframe에 관하여

개념 - 내부 프레임이라는 의미로 하나의 html 문서 내에서 다른 html 문서를 보여 주고자 할 때 사용 - 동영상도 넣을 수 있다 특징 - 모든 브라우저에서 작동 - DOCTYPE 문서에서는 작동하지만 script 문서에서는 작동하지 않음 속성 1. width와 height 속성 inline frame의 너비와 높이를 지정할 수 있다. 2. frameborder 속성 inline frame의 경계선의 두께를 지정할 수 있다. 3. margrinwidth와 marginheight inline frame의 여백을 지정할 수 있다 4. scrolling inline frame 내에서 스크롤바 사용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. scrolling 값을 no로 지정하면 스크롤바가 생기지 않습니다. 5. sandb..

2023. 8. 14. 09:31
Javascript

HTML i태그, b태그

p태그는 페이지 단락 b태그나 string 태그, i태그, em태그들은 비슷하다 하지만 b태그와 i태그는 시각적으로 강조를 한다 시각장애인용 스크린리더를 사용하면 강조가 안 된다 strong 태그나 em태그는 시각적 강조 뿐만 아니라, 문법적 강조도 한다 b태그 i태그

2023. 8. 14. 09:28
Javascript

Node.js 설치 & npm 설치 & npx 설치

Node.js 설치 nodejs.org/ko/download/ 위 링크를 들어간다. LTS를 다운 받아 주길 권장한다 LTS란, Long Term Support의 약어로 장기 지원 버전이다 그냥 쭉 Next 누르고 설치 완료하길 바란다 설치가 다 되었으면 터미널을 켠다 (cmd) node -v 입력해 본다 npm 설치하기 npm은 이미 Node.js 설치하면 설치되었다 cmd 창에 npm -v 입력해 준다 네 끝입니다 npx 설치하기 cmd 창에 npm install npx -g 입력해 준다 그러면 끝ㅇㅣ다.. npx는 어디에 효과적일까? create-react-app같은 보일러 플레이트 모듈에 효과적이다. npx를 통해 create-react-app을 설치할 경우에는 매번 최신 버전만을 가져와서 설치해..

2023. 8. 11. 10:38
Javascript

== === 차이점

== 는 Equal Operator 이고, ===는 Strict Equal Operator이다 ==는 a == b라고 할 때, a와 b의 값이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라고 한다 ===는 Strict, 즉 엄격한 Equal Operator로써 “엄격하게” 같음을 비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이다 ===는 a === b라고 할 때, 값과 값의 종류가 모두 같은지를 비교해서 같으면 true 다르면 false라고 한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💡 '=='와 '===' 연산자의 주된 차이점은, 예를 들어, 숫자를 숫자 리터럴과 비교하면, '=='는 그것을 허용하지만, '===' 두 변수의 형식은 동일하지 않은 경우, 값뿐만 아니라 두 변수의 유형도 확인하므로, 허용하지 않는 것이다. 즉, '===..

2023. 8. 11. 09:56
Javascript

논리 연산자 (OR, AND, NOT)

논리 연산자에는 || OR && AND ! NOT 이 있습니다 || (OR) ‘OR’ 연산자는 두 개의 수직선 기호로 만들 수 있다 result = a || b ; 전통적인 프로그래밍에서 OR 연산자는 불린값을 조작하는 데 쓰입니다 인수 중 하나라도 true 이면 true를 반환하고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한다 자바스크립트의 OR 연산자는 다루기 까다롭지만 강력한 기능을 제공한다 alert( true || true ); // true alert( false || true ); // true alert( true || false ); // true alert( false || false ); // false 피연산자가 모두 false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산 결과는 항상 true이다 피연산자가 불..

2023. 8. 10. 14:17
Javascript

증감 연산자 (전위, 후위)

증감 연사자 프로그램에서 변수값을 1 증가시키거나 1 감소시키는 상황에서 씁니다 증감연산자는 증가연산자(++)와 감소연산자(—)로 나뉩니다 증가연산자는 변수값을 1 증가시키고 감소연산자는 변수값을 1 감소시킵니다 또한 증감연산자는 전위(++n)와 후위(n++)로 나뉩니다 전위나 후위나 증감연산자가 사용된 후의 n값을 출력하면 1이 증가된 값을 가지게 됩니다 int a = 1, b = 1, c = 1, d = 1; ++a; b++; c = c + 1; d += 1; printf("출력값: %d, %d, %d, %d\\n", a, b, c, d); /* 다음의 결과값은 모두 2다. 출력값: 2, 2, 2, 2 */ 전위 (++n) 연산자 ++가 피연산자 n보다 앞에 위치할 때를 전위라 하고 1 증가된 값이 ..

2023. 8. 10. 10:42
  • «
  • 1
  • 2
  • »

전체 카테고리

  • 분류 전체보기 (39)
    • coding (7)
    • 네트워크 (2)
    • 알고리즘 (5)
    • 용어 (0)
    • 온라인 광고 (1)
    • 오류 (4)
    • Javascript (12)
    • React (3)
    • winterWood 강의 (1)
반응형
  • 최근 글
  • 최근 댓글

최근 글

최근댓글

전체 방문자

오늘
어제
전체

블로그 인기글

250x250
Powered by Privatenote Copyright © coding code All rights reserved. TistoryWhaleSkin3.4

티스토리툴바